문제 설명
얀에서는 매년 달리기 경주가 열립니다. 해설진들은 선수들이 자기 바로 앞의 선수를 추월할 때 추월한 선수의 이름을 부릅니다. 예를 들어 1등부터 3등까지 "mumu", "soe", "poe" 선수들이 순서대로 달리고 있을 때, 해설진이 "soe"선수를 불렀다면 2등인 "soe" 선수가 1등인 "mumu" 선수를 추월했다는 것입니다. 즉 "soe" 선수가 1등, "mumu" 선수가 2등으로 바뀝니다.
선수들의 이름이 1등부터 현재 등수 순서대로 담긴 문자열 배열 players와 해설진이 부른 이름을 담은 문자열 배열 callings가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 경주가 끝났을 때 선수들의 이름을 1등부터 등수 순서대로 배열에 담아 return 하는 solution 함수를 완성해주세요.
제한사항
5 ≤ players의 길이 ≤ 50,000
players[i]는 i번째 선수의 이름을 의미합니다.
players의 원소들은 알파벳 소문자로만 이루어져 있습니다.
players에는 중복된 값이 들어가 있지 않습니다.
3 ≤ players[i]의 길이 ≤ 10
2 ≤ callings의 길이 ≤ 1,000,000
callings는 players의 원소들로만 이루어져 있습니다.
경주 진행중 1등인 선수의 이름은 불리지 않습니다.
입출력 예
players callings result
["mumu", "soe", "poe", "kai", "mine"] ["kai", "kai", "mine", "mine"] ["mumu", "kai", "mine", "soe", "poe"]
입출력 예 설명
입출력 예 #1
4등인 "kai" 선수가 2번 추월하여 2등이 되고 앞서 3등, 2등인 "poe", "soe" 선수는 4등, 3등이 됩니다. 5등인 "mine" 선수가 2번 추월하여 4등, 3등인 "poe", "soe" 선수가 5등, 4등이 되고 경주가 끝납니다. 1등부터 배열에 담으면 ["mumu", "kai", "mine", "soe", "poe"]이 됩니다.
풀이
처음에는 단순 치환으로 문제를 해결하면 되는 줄 알았다.
def solution(players, callings):
answer = []
for i in callings:
n=players.index(i)
temp=players[n]
players[n]=players[n-1]
players[n-1]=temp
answer=players
return answer
r=solution(["mumu", "soe", "poe", "kai", "mine"],["kai", "kai", "mine", "mine"])
print(r)
-> 시간 초과 문제에 도달
어떻게 하면?
바로 딕셔너리를 사용하여 단순 치환이 아니라 key:value를 통해 값을 찾아 변경해야 함
key : value를 통해 현재 위치에 사람에 등수를 빼고 난 후 앞 사람을 찾아 등수를 더해야 함, 앞 사람을 찾기 위해선 for문이 필요
-> 시간 초과 문제
사람:등수, 등수:사람 이 두개의 딕셔너리를 만들어서 앞 사람을 찾는다 ! 이후 등수를 더하고 빼고, 등수를 다시 조회할 수 있도록 등수 : 사람 딕셔너리 사람 value에 변경된 사람을 넣어준다 !
def solution(players, callings):
answer = []
dic1={players: i for i, players in enumerate(players)} # 선수 : 번호
dic2={i:players for i, players in enumerate(players)} # 번호 : 선수
for i in callings:
hnum=dic1[i] #현재 선수 번호
pre_hnum=hnum-1 #선수 앞 번호
h=dic2[hnum] # 현재 선수 이름
pre_h=dic2[pre_hnum] # 선수 앞 이름
dic1[h]-=1 # 현재 선수 등수 -1
dic1[pre_h]+=1 # 선수 앞 등수 +1
dic2[hnum-1]=h # 현재 등수 -1에 현재 선수 이름
dic2[pre_hnum+1]=pre_h # 현재 등수 +1에 선수 앞 이름
answer=list(dic2.values())
return answer
r=solution(["mumu", "soe", "poe", "kai", "mine"],["kai", "kai", "mine", "mine"])
print(r)
좋은 코드
thanks for hsung@yonsei.ac.kr , Jeong97 , kkardd
def solution(players, callings):
player_indices = {player: index for index, player in enumerate(players)}
for j in callings:
current_index = player_indices[j]
desired_index = current_index - 1
players[current_index], players[desired_index] = players[desired_index], players[current_index]
player_indices[players[current_index]] = current_index
player_indices[players[desired_index]] = desired_index
return players
-> 하나의 딕셔너리를 통해 주어진 리스트 players을 통해 치환을 하고 player_indices value를 조회해주며 수행
'Python > 백준 알고리즘 (파이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프로그래머스] 공원 산책 (0) | 2023.07.13 |
---|---|
[프로그래머스] 신고 결과 받기 (2) | 2023.07.12 |
재귀 함수 practice01_하노이탑 (0) | 2022.07.01 |
동적 계획법 practice_02 가장 큰 부분 합 찾기 (0) | 2022.06.23 |
동적 계획법 practice01_1로 만들기 (0) | 2022.06.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