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AVA/기본 문법 내용 정리

    인터페이스 & 추상 클래스

    추상 클래스 추상 메소드는 abstract 키워드와 함께 정의만 선언하고, 내용은 작성하지 않는 메소드이다. 특징 1. 추상 메소드를 가지고 있다면 무조건 추상 클래스로 선언을 하여야 한다. 2. 추상 클래스의 인스턴스 생성 불가 (상속 시에도 적용, 배열로는 가능) 3. 추상 클래스를 상속 시 추상 메소드를 반드시 오버라이딩 해야한다. 4. 상속 시 : extends 선언 *목적 : 추상 메소드를 통해 서브 클래스가 구현할 메소드의 원형을 알려주는 인터페이스의 역할을 하기 위해 표현 1. 추상 클래스 생성 및 추상메소드 정의 public abstract class class_name{ ... } ( public 생략 가능 ) 1 2 3 public abstract class class_name{ pub..

    배열 [ ] & enum

    배열 객체 배열은 객체를 참조하는 주소를 원소로 구성 (생성하는 것이 아니라 참조할 변수를 준비) 배열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참조변수를 선언하고 배열객체를 생성해야 한다. 방법 1. 배열 값 넣기 : 자료형 변수 [ ] = {.......}; 방법 2. 배열 선언 : 자료형 변수 [] = new 자료형[] {.... }; 방법 3. 배열 선언 : 자료형 변수 [ ] = new 자료형[크기] - (선언과 동시에 초기화) String 배열은 값을 넣어주지 않으면 Null 배열 길이 : 배열 변수.length 임의의 배열 개수 : 자료형 ... 변수 2차원 배열 2차원 배열 :자료형 변수 [] [] = { {..},{..} }; 2차원 배열 길이 : 행: 변수.length / 열: 변수[0].length for..

    조건문 & 반복문

    and 연산자 : && or 연산자 : || 반대 연산자 : ! 조건문 1. if 문 if (조건1) { .... } else if (조건2){ .... } else{ .... } 삼항 연산자 ( 한줄로 if 문 표기 ) - 조건 ? a:b ; (참이면 a 거짓이면 b) 2. switch 문 ( 변수가 case 일때 ) switch (변수){ case "이거다" : .... break case "저거다" : .... break default : ..... 반복문 1. for문 for( 초기값 ; 조건 값; 증감/가 값) { ..... } 2. while문 while(조건 값) { ..... }

    상속

    ** 다형성 : 조상참조 변수로 자손 타입 객체를 다루는 것 오버 로딩 오버로딩 : 같은 이름의 함수를 다르게 재정의 하는 것 목적 : 이름이 같은 여러 개의 메소드를 중복 선언하여 사용의 편리성 향상 1. 매개변수의 유형이 다르거나 개수가 달라야 한다. 2.여러 숫자를 지정하게 하는 방법 : 함수이름(int .... numbers){ 처리 } -> 원하는 개수를 넣을수 있다. 3. 정적 바인딩 : 컴파일 시 중복된 메소드 중 호출되는 메소드 결정 오버 라이딩 오버라이딩 : 부모로부터 상속 받은 메서드를 자식에 맞춰서 수정하는 것 목적 : 슈퍼 클래스에 구현된 메소드를 무시하고 서브 클래스에서 새로운 메소드 재정의 1. 메소드와 동일한 시그니처 사용, 반환 타입도 동일 2. 부모보다 좁은 범위를 사용할 ..

    클래스

    클래스 클래스 안에는 field (속성) 과 method (행동) 이 들어가 있다. ex) 클래스 : 붕어빵틀 -> 객체(오브젝트) : 붕어빵 , 크림 붕어빵 -> 크림 붕어빵은 객체 = 크림 붕어빵은 붕어빵틀의 인스턴스이다. (인스턴스는 관계를 나타 냄) 1. 클래스 생성 class classname(){ ...... } public을 쓸 수있는 클래스는 오직 파일명과 일치하는 클래스 뿐 2. 객체 변수 생성 호출 시: 변수.객체변수 3. 메소드 생성 함수 = 메소드 (자바에서는 메소드 라는 표현이 정확하다.) - 메소드 구조 1. 입력과 출력이 모두 있는 메소드 : public 자료형 메소드명 (입력 자료형 입력변수,...) 호출 : 객체.메서드명(입력변수, 입력변수2) 2. 입력은 없고 출력이 있는..